- Published on
React에서 debounce, throttle을 사용하는 완벽한 방법
- Authors
- Name
- shleecloud
들어가며
이전 블로그에서 React 비동기 작업 중복 실행 방지 포스팅을 했다. 요약하자면 throttle과 debounce에 대한 설명 그리고 await 이전과 이후로 상태 변경을 보내는 코드로 비동기 실행을 막았다. 실제 환경에 적용해서 '어느정도는' 막을 수 있었지만 밀리세컨 단위로 클릭하는 경우 확실하게 막을 수는 없었다. 이 포스팅은 그 문제에 대한 최근의 답이다.
왜 상태 갱신으로 막기 힘든가
상태 갱신
-> await
-> 상태 갱신
이 순서로 진행한다.
-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리랜더링을 해야 if문의 차단이 유효하다.
- 하지만 같은 라인에 한 번 더 상태를 갱신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if문으로 인한 차단은 수행되지 않는다.
- await가 끝나자마자 버튼을 누르는 경우 두 번 실행된다.
// 실패하는 케이스
async function asyncRedundantPrevent(state, setState, asyncTask) {
// 중복 실행 차단
if (state === true) return;
// Flag 변경
setState(true);
// 실행 완료까지 대기
await asyncTask();
// Flag 변경
setState(false);
}
React Hook 라이프사이클에 의존하지 않는 비동기 차단이 필요했고 lodash의 throttle과 debounce로 다시 돌아오게 됐다.
이 글에서 throttle과 debounce 둘 다 상관없지만 debounce를 중점으로 설명하겠다. throttle을 원한다면 {leading: true, tailing: false}
옵션을 주면 동일하다.
debounce로 막기
debounce는 타이머와 콜백 함수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상태가 변경되면 리랜더링 과정에서 타이머도 새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실패하는 케이스를 보면 1초 늦게 글이 변경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sendRequest = () => {
console.log(`❌ Send naive request with: ${value}`)
}
const debouncedOnChange = _.debounce(sendRequest, 2000)
const onChangeNaive = (e) => {
setValue(e.target.value)
debouncedOnChange()
}
절반의 성공 useCallback
완벽하게 동작하고 충분히 훌륭한 코드로 보인다. 하지만 이 코드도 문제가 있다.
하지만 만약 콜백 체인이 있다면? 또는 다른 상태 변수에 접근하고 싶을 경우는? 어떻게든 만들 수 있겠지만 가독성이 떨어지고 코드가 장황해진다.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sendRequest = useCallback((value) => {
console.log(`✅ Send naive request with: ${value}`);
}, []);
const debouncedSendRequest = useMemo(() => {
return _.debounce(sendRequest, 1000);
}, [sendRequest]);
const onChange = (e) => {
const value = e.target.value;
setValue(value);
debouncedSendRequest(value);
};
여기까지 예제의 codepen console.log를 주목하자!
리랜더링을 회피하는 debounce
Javascript 객체는 참조자료형이라는 점이다. useRef는 mutable 하고 참조자료형인 점을 활용해서 useEffect의 조건을 활용하고 참조자료형인 점을 활용해서 최신의 콜백 함수를 갱신한다.
이렇게 최신 함수를 불러올 수 있게 된다면 debounce는 최초 랜더링 될 때 생성되는 useMemo 안에 배치해서 리랜더링을 회피하게 만든다.
그 결과 debounce는 리랜더링을 회피하면서 최신의 함수에 접근할 수 있다.
codepen에서 직접 확인해보자.
useDebounce
const useDebounce = (callback) => {
// 변할 수 있는 훅 ref를 선언한다.
const ref = useRef()
// 상태가 변하여 함수가 변한다면 ref를 갱신한다.
// ref에 들어간 값이 변하더라도 re-rendering이 되지 않는다.
// 따라서 debounce 또는 throttle이 re-rendering 되지 않는다.
useEffect(() => {
ref.current = callback
}, [callback])
// debounce 함수를 useMemo 훅에 빈배열의 의존성을 할당해 마운트 될 때 한 번 생성한다.
const debouncedCallback = useMemo(() => {
// func 함수는 마운트 될 때 한 번 생성한다.
const func = () => {
// ref는 변할 수 있다. mutable하다.
// 위의 useEffect로 인하여 ref.current는 최신의 함수를 바라본다.
ref.current?.()
}
// debounce 함수는 마운트 될 때 한 번 생성된다.
// 하지만 최신의 ref.current 값을 상대 참조하고 있다.
return _.debounce(func, 2000)
// useMemo의 의존성은 없다. 마운트 될 때 한 번만 생성된다.
}, [])
return debouncedCallback
}
사용 예
// input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
const sendRequestWithState = useDebounce(() => {
// send request to the backend
// access to latest state here
console.log(`✅ Send naive request with: ${value}`)
})
const onChange = (e) => {
const value = e.target.value
setValue(value)
sendRequestWithState()
}
참조 URL
How to debounce and throttle in React without losing your mind